컴퓨터팁

포맷 할 때 파일시스템(FAT32, NTFS, exFAT) 차이점

우동구3 2025. 3. 16. 10:10
728x90

포맷 할 때 파일시스템(FAT32, NTFS, exFAT) 차이점

요즘은 클라우드나 다른 저장 장치도 용량이 크고 빨라서

예전처럼 USB나 외장하드를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

아직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

포맷은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깨끗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

포맷은 먼저 USB나 외장하드를 PC 본체에 꽂고

해당 드라이브를 아래 그림처럼 우클릭해서 포맷을 선택한 후 시작을 하면 됩니다

 

해당 드라이브 우클릭 - 포맷

포맷을 하려고 보면 파일시스템이라는 것이 있는데

파일시스템을 클릭해 보면 아래 그림처럼 3가지의 방식이 있습니다

 
 

파일시스템

NTFS, FAT32, exFAT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

NTFS(New Technology File System)

  • 저장할 수 있는 파일 하나 당 최대 크기가 16GB(16GB 이상의 파일은 저장할 수 없음)
  •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기기 외에는 읽기 전용으로 사용
  • 호환성이 안 좋다 윈도우가 아닌 다른 기기 연결 시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음

FAT32(File Allocation Table 32)

  • 지원하는 드라이브의 크기가 32GB 고용량 메모리에서 사용 불가
  • 저장할 수 있는 파일 하나 당 최대 크기가 4GB
  •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(윈도, 리눅스, iOS)
  • 가장 오래된 파일시스템이지만 요즘 파일들이 고용량이라 점점 입지가 줄어들고 있음
  • NTFS에 비해 안전성, 보안성이 떨어짐

exFAT(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)

  • NTFS의 문제점을 개선해서 만들어진 포맷 방식
  • FAT32의 확장형으로 FAT32보다 속도가 빠름
  • 지원하는 용량의 최대 크기가 512TB
  • 호환성이 좋다(거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읽기, 쓰기 지원)
  • 안전성이 조금 떨어짐(USB 제거 시 안전제거로 안 할 시 파일 유실 문제 발생할 수 있음)

포맷을 할 때 위의 3가지 방식 중 자신한테 맞는 방식으로 포맷을 하시면 됩니다

요약하면

윈도우를 사용하면서 고용량 파일이 많다면 NTFS

고용량 파일도 없고 중요한 파일도 없다면 FAT32

USB보다는 외장하드를 사용한다면 exFAT

728x90